📌 “0.1% 차이, 의미 있을까?”
은행 금리는 전반적으로 낮지만,
장기적으로 보면 0.1%의 차이도 수익에서 큰 격차를 만듭니다.
예: 1,000만 원을 1년 예치할 경우
- 금리 1.5% → 이자 약 15만 원
- 금리 1.6% → 이자 약 16만 원
👉 단 0.1% 차이로 1만 원 차이!
오늘은 시중 주요 입출금 통장과 정기예금/적금 상품 중에서
‘금리 0.1%라도 높은 통장’을 비교 정리해드릴게요.
✅ 기준 조건
- 2025년 5월 기준, 변동 가능성 있음
- 세전 이자율 기준
- 가입 조건 없는 일반형 통장 위주 비교
💳 1. 입출금 통장 금리 비교
은행 통장명 기본 금리 특징
카카오뱅크 | 세이프박스 | 연 2.00% | 입출금 자유 + 이자 지급 |
토스뱅크 | 통장 기본금리 | 연 2.00% | 별도 조건 없이 적용 |
케이뱅크 | 플러스통장 | 연 1.70% | 300만 원까지 적용 |
하나은행 | 급여하나 통장 | 연 1.50% | 급여 이체 시 적용 |
신한은행 | 쏠편한 통장 | 연 0.80% | 조건 없음 (기본형) |
✔ 토스뱅크, 카카오뱅크가 조건 없는 고금리로 인기
✔ 일반 시중은행은 조건(급여이체, 자동이체 등) 필수
💰 2. 정기예금 금리 비교 (1년 기준)
은행 상품명 금리(세전) 비고
토스뱅크 | 정기예금 | 연 3.50% | 조건 없음 |
SC제일은행 | e-그랑블루 예금 | 연 3.40% | 비대면 전용 |
농협은행 | NH올원 예금 | 연 3.30% | 모바일 가능 |
신한은행 | 쏠편한 예금 | 연 3.20% | 온라인 전용 |
국민은행 | KB Star 정기예금 | 연 3.00% | 기본형 |
✔ 금리 차이 0.2~0.5% 수준
✔ 모바일 비대면 전용 상품일수록 금리 우대 많음
💸 3. 적금 금리 비교 (1년 만기 기준)
은행 상품명 금리(세전) 조건
토스뱅크 | 자유적금 | 연 4.00% | 조건 없음 |
우리은행 | WON 적금 | 연 3.80% | 자동이체 등 필요 |
카카오뱅크 | 자유적금 | 연 3.50% | 앱 가입 가능 |
국민은행 | KB 스마트폰 적금 | 연 3.30% | 비대면 가입 전용 |
기업은행 | i-ONE 적금 | 연 3.20% | 월 납입 한도 있음 |
✔ 토스뱅크, 우리은행 모바일 적금은 금리가 높고 조건 간단
✔ 적금도 ‘자유적금 vs 정기적금’ 구분 필요
🧠 정리: 금리 높이는 실전 팁
- 📌 비대면 전용, 모바일 전용 상품 찾기
- 📌 자동이체·급여이체 조건 충족 시 우대금리
- 📌 CMA 계좌, 세이프박스 등으로 비상금 운용도 고려
💬 마무리 한마디
금리 0.1%는 작아 보일 수 있지만,
수천만 원 단위 자산에는 큰 차이를 만들어냅니다.
‘통장도 쇼핑하듯 비교’, 이제는 필수입니다.